-
찰스 테일러의 "사회적 상상" 이론과 인문사회과학의 해석학적 전환을 토대로 2022년 창간한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Imaginaries 편집인 서문 발췌번역Research & Lecture notes 2023. 2. 15. 12:47
번역(DeepL)
"복합적인 사회적 의미와 권력의 문화적 투영을 탐구하고 다양한 근대성을 포함한 근대성의 근본적인 문제와 인간 조건에 관심을 갖는 학제 간 저널입니다."
"우리의 학제 간 전통은 상상력과 상상력에 대한 철학적, 사회학적 논의, 창조적 상상력의 여정, 근대성의 궤적, 종교에 대한 접근법, 세계 지역에 대한 학제 간 특징을 다룹니다. 상상력과 상상의 개념, 과거와 현재의 사회, 국가, 문화, 문명의 주요 문제에 대한 연구를 출판하면서 유토피아적 사고와 해방 프로젝트에 대한 토론을 포함하여 미래 지향적 비평에 대한 논의도 수용했습니다. 상상력에 대한 철학적 분석은 물론 민주주의와 자율성의 위기, 사회와 정신의 관계, 자본주의와 국가, 기후와 인류세, 전쟁과 테러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역사적, 경험적 조사를 하나의 저널에 담아낸 '사회적 상상력'은 한편으로는 다학제적 학문을 통한 이론과 분석을, 다른 한편으로는 창조적 상상력, 종교, 아메리카, 사회적 상상력과 현대 세계에 대한 주요 사상가들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고 말했다."상상력과 사회생활, 정치, 대표, 권력, 신화, 행동 양식(예: 사회운동)의 집단적 창조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학적 분석에 대한 강조는 집단적 수준이 이 분야의 주요한 구분점이기 때문에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간과학에서 사회생활, 정치, 대표, 권력, 신화, 실천 방식 등으로 연구되는 현상은 종종 주관적이거나 상호주관적인 것으로 이해되거나 기껏해야 시스템적인 것으로 이해됩니다. 이 저널은 경험적 문제를 해석하고 토론하는 데 필수적인 기준점으로 집단적 차원의 의미를 추가함으로써, 집단적 제도로서의 사회적 상상력을 검토할 때 집단적 상상력과 개인적 차원의 상상력에 대한 개념을 더욱 정교화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인간 세계에 대한 분석에 차원을 더할 뿐만 아니라 현대 세계에 대한 당연한 가정을 시험대에 올리는 비판적 차원을 개발하고 심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저널은 헌법적, 민주적 상상력 또는 환경의 상상력과 같은 주제에 관한 학제 간 논의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제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 페이지에서 다루는 상상의 범위와 상상의 방식은 현재 상상이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영역, 즉 전 지구적 생태적 상상력과 자본주의적 상상력을 배경으로 하는 헌법적, 전체주의적, 포퓰리즘적, 도시적, 민주적 상상력과 페미니스트, 인도주의적, 종교적 상상력이 정치적, 문화적 대응을 위한 의미의 지평과 행위의 양식을 제공하는 다양한 영역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이해는 당연하게 여겨지던 의미들이 (현재와 같이)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독특한 시기에는 더욱 중요합니다.""헌법과 이론('헌법적 상상력'), 인권법('인권적 상상력'), 민주주의 이론('민주주의적 상상력'), 포퓰리즘 정치('포퓰리즘적 상상력')."
"'사회적 상상력'이라는 개념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충분한 개념적 정교함과 설명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특정 학문에서 제시되는 사회적 상상력에 대한 논의는 다른 학문의 사회적 상상력에 대한 논의를 무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저널은 사회적 상상력과 관련된 학제 간 토론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현대 연구의 중요한 격차를 메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에밀 뒤르켐, 장 폴 사르트르, 자크 라캉의 사회학 및 철학 사상에서 시작되어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폴 리쾨르, 클로드 르포르의 획기적인 저작에서 구체화된 가상의 개념은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삶에서 현실을 구성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인간의 능력과 활동으로서 상상력과 상상력은 인간이 다양한 방식으로 현실을 창의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복수로 생각되는 '사회적 상상력'은 다양한 역사적, 사회적 또는 문화적 맥락에서 정치, 문화, 경제, 사회를 여러 수준에서 구성하는 권력의 별자리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근대성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관심이 있는 인문학 및 사회과학의 몇 가지 상호 연관된 경향을 가리킵니다. 첫째, 사회적 상상력은 더 이상 재현적이거나 허구적인 것이 아닌 창조적인 상상력에 대한 관심과 강조를 드러내며, 따라서 사회적 창의성의 형태는 창조적 또는 생산적 상상력의 작용으로 간주됩니다. 둘째, 사회적 상상력은 집단적으로 제도화된 의미의 현상과 문화 간 변형을 강조합니다. 셋째, '상상력'을 강조하는 것은 근대성의 중심 교리(또는 약속)로서 이론적 이성이나 합리성을 일차원적으로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상상력'의 정교화는 비록 불완전하지만 인간 과학에서 해석학적 전환이 진행 중임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인간 개인의 능력으로서 '상상력'이나 '이성'이라는 단일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사회적 상상력'과 '합리성의 형태'와 같은 사회문화적 '현실'의 구성 요소에 주목하고자 합니다. 간단히 말해, 이 저널의 한 가지 초점은 세계성, 상상력, 이성, 문명 양식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가리키는 근대성(및 '다중 근대성')의 문화적 해석학입니다. 다양한 '타자'를 내포하는 근대성의 토대라는 맥락에서, 이 저널은 세계 안에서의 상호주관적 존재 양식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의미, 행동, 권력의 차원을 해명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 저널은 문명의 비교 분석과 이에 수반되는 세계사적 정교화에 관심을 두고 있지만, 아직 해석학적 전환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철학, 특히 현상학과 해석학의 주요 사상적 전통에서 이 분야는 성장해 왔습니다."
"근대성의 중심적 상상력의 소진에 대한 이론적 대응은 위기의 전체적 의미를 명확히 하고, 집단적 비전의 상실에 대응하며, 새로운 정치적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데 실패했습니다. 따라서 인간 사회의 정치적 자율성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자연 세계와의 근본적인 연결을 개념화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접근과 해석적 틀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사회, 문화, 역사 세계의 구성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소외된 타자, 즉 자연에 대한 관심도 뚜렷합니다. 저널은 환경에 관한 현재의 논쟁을 넘어 이러한 설명의 바탕이 되는 자연의 이미지와 자연의 다양한 상상을 탐구하는 질문을 추구할 것입니다. 근대는 역사의 영역에 의미를 부여하는 동시에 코스모스의 고유한 의미를 박탈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사회적 상상력은 인간과 비인간 세계 사이에 그려진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경계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연의 문화적 이미지가 자연에 관한 권력의 문화적 프로젝트와 상호 작용하고, 여기서 새로운 형태의 생태적 세계관과 환경 운동이 주목받게 되며, 결국 비교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게 됩니다."
원서
"interdisciplinary journal that inquires into complexes of social meaning and cultural projections of power, and that is concerned with the fundamental issues in modernity—including multiple modernities—and the human condition."
"Our interdisciplinary tradition covers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discussions of the imagination and the imaginaries, journeys in the creative imagination, trajectories of modernity, approaches to religion, and interdisciplinary features on world regions. In publishing work on the concepts of the imagination and the imaginaries, on the major problems of past and present societies, states, cultures, and civilizations, we have also accommodated discussions of future oriented critiques, including debates on utopian thinking and projects of emancipation. Tabling into a single journal philosophical analyses of the imagination as well as new theoretical, histor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s of the crises of democracy and autonomy, interrogations of the relationship of society and the psyche, capitalism and statehood, climate and the Anthropocene, and war and terror, Social Imaginaries brought theory and analysi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scholarship, on the one hand, and themed discussions of the creative imagination, religion, the Americas, and major thinkers on social imaginaries and the modern world,"
"An emphasis on the phenomenological and hermeneutical analyses of the imagination and the collective creation of social life, politics, representations, power, myth, and modes of actions (such as social movements) continues because the collective level is a major point of distinction for the field. In the human sciences, phenomena studied as social life, politics, representation, power, myth, and modes of praxis are often understood as subjective or inter-subjective, or at most sys- temic. By adding the collective level of meaning as an essential reference point in interpreting and debating empirical issues, the journal further elaborates a different conception of collective and individual levels of imagination in examining social imaginaries as collective institutions. Such an approach not only adds a dimension to the analysis of the human world, but also aims at developing and deepening the critical dimensions that put taken-for-granted assumptions of the contemporary world to the test. It is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journal aims to contribute to topical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with regard to, for instance, constitutional and democratic imaginaries or the imaginaries of the environment. In fact, as canvassed above, the range of imag- inaries and modes of imagination addressed in these pages aims to capture the many areas in which the imagination is currently discussed: constitutional, totalitarian, populist, urban, and democratic imaginaries backgrounded by global ecological and capitalist imaginaries, for which feminist, humanitarian, and religious imaginaries provide horizons of meaning and modes of agency for political and cultural responses."
"Such understanding is even more important in distinctive periods in which taken-for-granted meanings are in a state of rapid transformation (as arguably is occurring in current times)"
"constitutional law and theory (‘constitutional imaginaries’), human rights law (‘human rights imaginary’), democratic theory (‘democratic imaginaries’), and populist politics (the ‘populist imaginary’)."
"The notion of ‘social imaginaries’ is frequently used, across disciplines, but often without sufficient conceptual elaboration and explanation. Moreover, discussions of social imaginaries that we come across as presented in specific disciplines often ignore the discussions of social imaginaries in other disciplines. The journal aims to fill an important gap in contemporary research by offering a platform for cross-disciplinary debates relating to social imag- inaries. Originating in the sociolog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 of Émile Durkheim, Jean-Paul Sartre and Jacques Lacan, and crystallized in landmark works by Cornelius Castoriadis, Paul Ricoeur, and Claude Lefort, the notion of the imaginary refers to the constitution of reality in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life. As a human capacity and activity, the imaginary and imagination allow human beings to creatively grasp reality in a variety of ways. Thought of as plural, ‘social imaginaries’ refers to constellations of power that frame politics, culture, economy, and society on multiple levels in diverse historical and social or cultural contexts. The term points to several interrelated trend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at are concerned with developing a new approach to the question of modernity. First, it reveals the concern with— and emphasis on—the imagination as creative and no longer only reproductive, or fictive; as such, forms of social creativity are seen as the workings of the creative or productive imagination. Second, social imaginaries highlight the phenomenon of collectively instituted meaning and its inter-cultural variations. Third, foregrounding ‘imaginaries’ provides a corrective to a one-dimensional over-emphasis on theoretical reason or rationality as the central tenet (or promise) of modernity. Finally, the elaboration of ‘social imaginaries’ underscores the ongoing, albeit incomplete, hermeneutical turn in the human sciences. Therefore, instead of focusing on the singular ‘imagination’ or ‘reason’ as a faculty of the human individual, it seeks rather to emphasize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socio-cultural ‘reality’, such as ‘social imaginaries’ and ‘forms of rationality’. In brief, one focus of the journal is the cultural hermeneutic of modernity (and ‘multiple modernities’), a need for which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worldhood, imagination, reason and civilizational forms point to. In the context of the grounding of modernity that implies a variety of ‘others’, the journal is concerned to elucidate dimensions of of meaning, action and power as the precondition for inter-subjective modes of being-in-the-world. It is concerned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ivilizations and concomitant elaboration of world histories, which however have yet to fully assimilate the hermeneutical turn."
"From primary traditions of thought in philosophy, and especially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the field has grown"
"The theoretical response to this exhaustion of the central imaginary significations of modernity has failed to articulate the full significance of the crisis, counter the loss of collective vision, and inspire a new political imaginary. There is thus an urgent need to find new theoretical approaches and interpretative frameworks that can re-assert the capacity of human societies for political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conceptualize its fundamental connection to the natural world."
"focus is also distinct in concerning itself not only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world, but also with the neglected other of the social: nature. Beyond current debates concerning the environment, the journal will pursue questions that interrogate the images of nature underpinning these accounts and the various imaginaries of nature. Modernity has seen the realm of history invested with meaning, whilst concomitantly the kosmos has been stripped of inherent significance. Social Imaginaries aims to interrogate the line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drawn between the human and non-human world. In so doing, the cultural images of nature inter- sect with the cultural projects of power concerning nature, and here new forms of ecological worldhood and environmental movements come into focus, in turn necessitating comparative and intercultural approaches."코멘트
2022년 찰스 테일러(편집위원)의 "#사회적_상상" 이론과 인문사회과학의 해석학적 전환을 토대로 창간한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Imaginaries 편집인 글인데 사회학의 문화적 전환과 너무 유사함. 정치철학에서 해석학적/문화사회학적/경험적 전회랄까.
Adams, S., & Arnason, J. P. (2022). A Further Conversation on Social Imaginaries: Political Philosophy, Normative Commitments, and the Creativity of Social 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Imaginaries, 1(2), 328-353.
최근 테일러(Adams & Arnason, 2022)는 사회적 상상 개념의 주요 원천인 이데올로기 개념의 맑스주의적 정의보다는 뒤르켐에 주목함. 이데올로기는 허위의식이나 계급적 이해관계와 동일시할 수 없다고 밝힘. 이데올로기는 인간 사회의 구성 요소이며 실천과 구조를 만드는데 관여하며 권력 구조의 작동을 설명함. 이데올로기는 기존 질서를 강화하거나 정당화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질서 내부의 긴장을 드러내는 역할을 함.
이데올로기 개념을 정교화하는 것은 비판에 대한 잠재적 개방임.
카스토리디아스에 따르면 사회적 상상은 “the conditions for the representable and the do-able”, “the primary, inaugural, irreducible positing of the social-historical and the social imaginary” (The Imaginary Institution of Society 1987, pp. 367, 368).
사회적 상상은 마이클 만(Michael Mann)이 말한 내재적 이데올로기(카스트 위계 적용 규칙)와 초월적 이데올로기(체계적이고 일관된 카스트 교리) 모두의 배경적 원천으로서 존재한다. 이는 베버가 예시한 내세지향의 개인주의와 현세지향의 계층이 결합한 "전체 체계의 정신(the spirit of the whole system)"인 것이다. 이는 또한 아이젠슈타트의 인도 문명 분석에서도 강조된 것이다.
이데올로기와 문화는 동일한 범주인가? (다음에...)
#정치적_상상 #민주적_상상 + #사회기술적_상상 + #문화사회학 #문화변동론 #문화해석학 #현상학
#기술민주화 #기술문화 #기술생태학 #신유물론 #인류세'Research & Lecture no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르디외의 인민론 (0) 2022.06.13 버틀러와 부르디외의 논쟁과 수행성 이론 입문(PPT) (0) 2022.03.25 부르디외-수행성-버틀러 (0) 2022.03.25 Constructivist Turn in Political Representation (0) 2022.03.23